[사진공책] 가려진 세계의 징후들

페스트의 징후들 본문

- 주석 모음집

페스트의 징후들

김창길 2020. 5. 11. 08:05

 

두 권의 책을 저울질 했다. 제러드 다아이몬드의 <, , >와 알베르 카뮈의 <페스트>. 책의 두께와 무게는 <, , >가 시간의 두께는 <페스트>가 두꺼웠다. 출퇴근용이었기에 가벼운 <페스트>를 선택했다.

 

이방인 알베르 카뮈는 중세 유럽을 암흑에 몰아넣은 페스트 균을 전쟁 직후의 알제리의 한 해안도시 오랑에 퍼뜨리며 소설을 시작했다.

 

"이 연대기의 주제가 되는 기이한 사건은 194X년 오랑에서 일어났다."

 

기이한 사건이란 도시에서 쥐가 무더기로 죽어나는 데서 시작한다. 그리고 고양이도 사라진다. 행정당국이나 기자도 이 징후들을 그냥 넘기지만 서술자는 이것을 어떤 불길한 징조로 차분히 관찰하고 기록한다. 모든 전염병의 징후들이 비슷한지는 모르겠으나 알베르 카뮈가 풀어나가는 194X년의 페스트는 21세기의 코로나19 전염병과 유사한 몇 가지 증상들을 보여준다.

 

 

 

 

첫 번째는 중국 발원설이다.

 

"나는 결과를 알지. 분석을 해볼 필요도 없소. 나는 중국에서 의사생활을 한 적이 있고 파리에서도 몇 가지 사례들을 보았소. 20여 년 전의 일이오. 다만 그 당시에는 그 병에다가 감히 병명을 붙일 엄두가 나지 않았던 것이오. 여론이란 무서운 거니까 그것을 동요시켜선 안 되겠지. 무엇보다도 동요하면 안 된다 말이오. 게다가 어떤 동료는 '있을 수 없는 일이야. 서양에서는 그 병이 사라졌다는 것을 누구나 알고 있는데'라고 했고. 그렇소, 죽은 사람만 빼고 모두가 그것을 알고 있었소. 자, 리외. 이게 무슨 병인지 당신도 나만큼이나 잘 알고 있을 것이오."

(알베르 카뮈, <페스트>, 별글 클래식, 56)

 

전염병에 대한 이름 짓기도 지금의 코로나19 상황을 떠오르게 한다. 우한 바이러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코비드19, 코로나19……. 전염병 초기, 우리는 그 병의 이름을 어떻게 명명할지에 대해 소모적인 논란을 지속했다. 알베르 카뮈의 전염병 역시 그러하다. 다만, 소설 속의 행정당국과 의사들은 이 전염병이 무엇인지 알고 있었지만, 그 엄청난 전염병의 이름을 입에 올리기를 두려워했다는 점이 다소 다르다. <페스트>의 늙은 의사 카스텔이 이미 그것이 무엇인지 알고 있을 것이라 짐작하는 젊은 의사 리외에게 속마음을 털어놓자 그가 대답했다.

 

"거의 믿을 수 없는 일이죠. 그러나 이건 아무래도 페스트 같습니다."

 

 

 

 

전염병을 막기 위해 취했던 조치들도 비슷하다. 인천공항에서 쉽게 목격했던 중국인들의 우의가 소설에도 등장한다.

"그해에 처음으로 비옷이 거리에 등장했다. 고무를 입혀서 번들거리는 천의 옷들이 수없이 많이 눈에 띄었다. 사실 신문들은 200년 전 남프랑스에 대규모의 페스트가 유행했을 때, 의사들이 자신들을 보호하기 위해 기름 먹인 옷을 입었다는 사실을 보도한 일이 있었다. 상점들은 그것을 이용해서 유행에 뒤떨어진 옷들의 재고품을 유통시켰는데, 시민들은 그 옷의 도움을 받아서라도 병에 대한 면역을 얻으려는 생각이었던 것이다."

(같은 책, 332)

 

질병관리본부가 신경 쓰는 확진자 통계는 오랑시의 행정당국이 가장 신경쓰는 일 중의 하나다.

"폐스트 진행의 그래프는 끊임없는 상승에 이어서 오랫동안 평평한 안정 상태를 보였는데, 예를 들어 의사 리샤르 같은 사람에게는 그것이 완벽하게 위안을 주는 징조로 보였다. "좋아 훌륭한 그래프야." 그는 이렇게 말했다."

(같은 책, 333)

 

코로나19의 대표적인 이미지인 마스크도 등장한다.

"그러나 더욱 안전을 기하기 위해서, 보건 관계자들은 여전히 소독된 얇은 천으로 만들어진 가제 마스크를 쓰고 호흡했다."

(같은 책, 335)

소설에도 마스크의 효능에 대한 논란이 있다. 확진자 가족들을 시립운동장에 격리하는 조치도 지금의 상황과 비슷하다.

 

예측할 수 없는 전염병에 갇힌 도시에서 살아남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다양한 군상들도 비슷하다. 미국에서 발생했던 생필품 사재기 현상도 소설에 묘사됐다.

"그렇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늘어가고 있는 식량 보급 문제의 어려움 때문에 또 다른 근심거리가 생겨나게 되었다. 게다가 투기까지 끼어들면서, 일반 시장에서 가장 필요한 생활필수품들이 터무니없이 높은 가격에 팔렸다."

(같은 책, 335)

봉쇄된 도시에서 암거래로 이득을 취하는 코타르는 마스크 불법유통 업자들처럼 총체적인 난국인 상황에도 자기 잇속만 챙기는 인간군상이다.

 

그래도 희망은 있다. 의사 리외 등 등 자신의 자리에서 전염병을 막기 위해 묵묵히 제 역할을 해나가는 사람들을 알베르 카뮈는 영웅이라 했다. 영웅이란 할리우드 영화에 나오는 초능력을 가진 히어로가 아니다. 의사 리외는 시청 하급 서기인 그랑을 영웅이라 생각한다.

 

"그렇다. 사람들이 소위 영웅이라는 것의 모범과 본보기를 정하고 싶어 하는 것이 사실이라면, 그리고 이 이야기 속에 반드시 한 사람의 영웅이 있어야 한다면, 서술자는 바로 이 평범하고 존재감 없는 영웅, 약간의 선한 마음과 언뜻 보기에 우스꽝스러운 이상밖에 갖고 있지 않은 이 영웅을 세우고자 한다. 이것으로 진리는 그 본래의 차리를, 즉 둘에 둘을 더하면 합이 넷이 되는 위치를 찾게 될 것이다. 그리고 영웅주의에는, 이것이 원래 놓여 있던 부차적인 자리를, 즉 행복에 대한 인간적인 욕망의 바로 다음에 놓이되 결코 그 앞에 노일 수 없는 위치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같은 책, 195)

 

소설 <페스트>1947년 출간 한 달 만에 초판 2만 부가 매진되고 1960년까지 65만부가 팔렸다고 한다. 2차 세계대전을 겪은 동시대인들의 공감을 끌어냈기 때문이란다. 반세기가 훌쩍 넘은 지금 서점가에서 알베르 카뮈의 <페스트>가 다시 인기를 끄는 이유는 바로 이 공감능력 때문일 것이다. 소설의 재미는 다른 차원의 이야기일 수도 있다. 전염병은 어쨌든 흥미진진한 현상이 아니라 총체적인 난국일 따름일 테니까.

 

2020.5.

'- 주석 모음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대한 녀석, 모비딕  (0) 2020.07.14
기상학적 자아가 느낀 날씨의 맛  (0) 2019.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