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공책] 가려진 세계의 징후들

학교가 살아났다. 바당이 웃는다. 본문

- 찍고, 쓰고

학교가 살아났다. 바당이 웃는다.

김창길 2015. 3. 8. 11:13

 

 

 

폐교 위기에 몰렸던 시골 초등학교가 다시 살아났다. 마을 인구가 고령화되어 입학생이 줄자 2014년 통폐합 명단에 올랐던 학교다. 마을에서 학교가 사라지게 놔둘 수 없다며 학부모와 교직원, 그리고 마을 주민들이 한마음으로 학교살리기 운동을 벌였다. 제주도 서귀포시 성산읍 온평초등학교 이야기다.

 

 

 

수업을 마친 학생들이 하굣길에 마을 바닷가에서 자전거를 타고 있다. 60여년전 학교를 위해 미역을 채취하던 학교바당(바다)에서는 아직도 마을 해녀들이 물질을 하고 있다.

 

 

 

“해녀들의 도움으로 살아났던 학교 역사를 이제 우리가 이어가야죠.”

개교한 지 4년째 되는 1950년, 학교에 불이나 전 교실이 불에 탔다. 문애선 교장이 사연을 풀어놨다. 끼니조차 때우기 어려운 살림이었지만 아이들을 가르쳐야 한다며 해녀들이 미역 판 돈을 학교 재건을 위해 내놨다. 당시 마을 앞바다에서 나는 미역은 전국에서 으뜸으로 쳤다. 그래서 마을 앞바다를 ‘학교바당(바다)’이라 불렀다.

온평초등학교는 한때 86명의 졸업생을 배출하며 온평리 사람들의 꿈과 희망을 키우던 학교였다. 차츰 학생수가 줄어들더니 어느새 제주 본섬에서 가장 작은 학교가 됐다. 한 선생님이 두 학년을 전담하는 복식학급으로 수업을 이어갔다. 학생수가 늘지 않으면 더 이상 학교를 운영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지난 2일 열린 입학식에서 재학생 언니 오빠들이 신입생들을 환영하며 박수를 치고 있다.

 

 

 

“학교가 살아야 마을도 사는 거죠.”

학부모들은 지난해 5월 학교살리기 희망비빔밥 행사를 열었다. 골고루 섞인 비빔밥처럼 학부모와 주민, 그리고 학교 선생님들의 마음을 모아보자는 취지였다. 예상밖의 결실을 맺었다. 비빔밥 한 그릇에 돈 1만원쯤 내놓을 것으로 예상했는데 십시일반의 작은 기적이 일어났다. 무려 2300만원의 기금이 모였다. 작은 시골마을 치고는 굉장한 액수였다. 그후 계속된 학교살리기 운동으로 2억원에 육박하는 기금을 모았다.

 

학교살리기 기금은 마을로 이주한 전학생들의 주거공간 마련을 위해 쓰였다. 방치된 공동 찜질방을 개조해 다세대주택을 만들고, 어촌계 사무실도 가정집으로 꾸몄다.

 

 

 

작은 학교는 한 학년 한 학급이기 때문에 학년이 바뀌어도 친구들과 헤어질 걱정이 없다.

 

 

 

 

“첫 시골생활이라 걱정이 많았는데 집이 깔끔해서 다행이에요.”

 

아이의 개성이 강해 도시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했던 임성빈군(가명) 어머니는 아이를 위해 시골학교를 물색하던 중이었다. 아무래도 학생수가 적으면 성빈이의 진면목을 선생님들이 알아줄 수 있으리라 기대했다. 때마침 온평초등학교의 ‘전학생을 위한 저렴한 임대주택’ 소식을 접했다. 성빈이 어머니는 용기를 내 이삿짐을 꾸렸다.

 

 

 

은 시골학교이지만 다도, 전통무예, 바이올린, 영어회화 등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은 다양하다. 학생들이 중국어를 배우고 있다.

 

 

제주에선 ‘아침밥이 있는’ 9시 등교가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온평초등학교는 8시부터 교문을 연다. 아침에 눈을 뜨자마자 학교에서 놀겠다며 등교하는 아이들이 많기 때문이다. 선생님들은 일찍 오는 아이들을 나무라지 않고 매일 아침 아이들과 손을 잡고 학교 운동장을 달린다. 푸른 잔디가 깔린 운동장을 달리는 아이들의 얼굴이 환하다. 온평리에 웃음이 찾아왔다.

 

 

매일 아침 830, 선생님들과 학생들은 아침 건강 달리기를 한다.

 

2015년 3월 제주 온평리

'- 찍고, 쓰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렁길을 걷다  (0) 2015.03.19
인도 탈출기  (4) 2015.03.12
남해의 봄  (0) 2015.02.16
강한자가 미인을 얻는다.  (0) 2015.02.04
새로운 2015년을 힘차게 내딛어본다.  (2) 2015.01.02